본문 바로가기
빡빡믿어보세요

[고지혈증]_ 증상 없는 고지혈증 더 심해지면 협심증?심근경색?뇌중풍?췌장염?

by 애델렐라 2021. 12. 13.
반응형

[ 혈관에 콜레스테롤이 가득 끼어 있는 고지혈증, 고지혈증 증상 및 합병증, 고지혈증 걸리는 이유, 고지혈증에 좋은 음식, 고지혈증 피해야 하는 음식, 고지혈증 약 부작용? 자연치료?, 고지혈증 개선방법(예방법) ]

 

 

 

 

 

 

 

 

 

고지혈증
그냥 기름진 음식 안 먹으면 되는 거 아니야?
약 먹으면 된다?


약을 먹어도 관리 없이 똑같이 지내면

협심증, 심근경색, 뇌중풍(뇌질환) 및 췌장염 등 다양한 합병증이 옵니다.
미리 관리해야 합니다.

고지혈증

 

 

 

 

 

 

 

혈관에 콜레스테롤이 가득 끼어 있는 고지혈증?

고지혈증은 몸의 통증이나 증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닙니다. 고지혈증은 병원을 방문해 오로지 혈액을 채취하여 혈액 검사만으로 고지혈증으로 진단을 내립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은 건강검진 후 고지혈증 진단받으셨거나, 가족 중 고지혈증을 진단받으신 분이 많을 거라 예상합니다. 고지혈증은 간단하게 설명하면 콜레스테롤이 피가 지나가는 혈관에 끼어있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콜레스테롤 자체는 나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콜레스테롤은 우리 몸을 유지하는데 꼭 필요한 성분입니다. 그러나 이 콜레스테롤은 콜레스테롤이 수치가 높은 음식 섭취, 나쁜 생활습관으로 인해 콜레스테롤이 혈관 속에 과도하게 쌓였을 경우 고지혈증을 유발합니다. 즉 나쁜 지방은 과도한 상태이고, 좋은 지방이 부족하다는 의미입니다. 고지혈증을 진단받은 후 심하지 않을 경우에는 약을 먹지 않아도 식단과 생활습관을 개선함으로써 좋아질 수 있는 질환입니다. 그러나 고지혈증을 관리하지 않고 나두게 된다면 증상이 악화되고, 다양한 합병증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고지혈증 증상 및 합병증

위에서 설명하였듯 고지혈증은 따로 나타나는 증상은 없습니다. 혈관 속에 콜레스테롤과 지방이 과도하게 쌓여 혈관을 막히게 합니다. 고지혈증을 진단받은 후 식단과 생활습관을 개선 및 관리하지 않으면 혈관 속 콜레스테롤이 완화되지 않고 지속해서 쌓이게 되면서 다양한 합병증으로 나타납니다. 가장 먼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합병증은 혈액순환이 떨어져 동맥경화의 원인이 되고, 혈관이 막혀 심근경색, 협심증, 뇌졸중, 고혈압 등의 심한 심혈관질환, 뇌질환으로 악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모든 질병들이 고지혈증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과 질환입니다. 특히 심혈관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사망 원인으로 1,700만 명 이상이 사망합니다.  뇌경색, 심근경색과 같이 콜레스테롤 수치를 관리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은 별다른 전조증상 없으며, 골든타임이 약 2~3시간 정도이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고지혈증으로 인해 나타나는 합병증
  • 고혈압
  • 황색종
  • 혈관이 막히는 심근경색 (심장 근육에 괴사가 일어나는 병)
  • 협심증 (심장 심한 동통, 발작 증상)
  • 뇌졸중 (뇌에 혈액 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아 마비, 언어장애, 호흡곤란 )
  • 동맥경화 ( 동맥의 벽이 두꺼워지고 굳어져서 탄력을 잃음)
  • 췌장염

 

 

 

 

 

 

 

 

고지혈증 원인

고지혈증에 걸리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당연히 콜레스테롤과 기름진 음식, 지방이 많은 음식을 먹었기 때문에 걸렸겠거니 흔히들 생각합니다. 그러나 고지혈증은 술이나 육류 등 기름진 음식을 섭취하지 않아도 채식 위주의 식단을 유지하여도 나타나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건강검진을 통해 조기 발견,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지혈증은 기름진 음식, 술과 함께 식사를 하는 습관, 육류 섭취가 늘어난 현대사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입니다. 2013년 건강보험 통계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의 절반이 고지혈증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통계적으로 고지혈증 질환은 남성보다 여성이 1.5배 더 많이 나타납니다. 여성과 남성 모두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혈액 내 콜레스테롤 수치가 올라가는데,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폐경 또한 고지혈증에 영향을 줍니다. 여성호르몬의 감소로 혈관 보호 능력이 약해지면서 콜레스테롤 수치가 증가하면서 혈관에 콜레스테롤이 쉽게 쌓이는 환경이 조성됩니다.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은 내장지방의 축적을 막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면서 혈관을 보호합니다. 이 외에도 유전적인 영향, 당뇨병, 고혈압, 갑상선 질환, 간질환, 심장질환 및 비만, 음주, 흡연, 운동부족, 건강하지 못한 식단, 스트레스 등이 대표적입니다.

 

 

 

  • 고지혈증 원인
  • 유전적인 영향 (가족력)
  • 다양한 고위험군의 질병을 앓고 있을 경우 ( 당뇨, 고혈압, 갑상선-간-심장 질환 등)
  • 기름진 음식, 잦은 육류 섭취, 건강하지 못한 식단
  • 비만
  • 음주
  • 흡연
  • 운동부족
  • 스트레스
  • 폐경

 

 

 

 

 

 

 

고지혈증에 좋은 음식

등 푸른 생선(오메가-3), 견과류, 아마씨, 식이섬유가 많은 채소, 해조류, 통곡 밀, 과일, 콩류, 두부와 같은 기름기가 적은 음식, 식물성 기름, 가금류, 기름기 적은 고기 등으로 구성된 식단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혈관을 깨끗이 해주는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혈당의 변화를 최소화하고 식욕을 조절하기 위해 탄수화물과 함께 단백질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떤 지방을 섭취하는가에 따라 인체에 약이 될 수 도 있고, 독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좋은 지방을 최대한 많이 섭취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오메가-3 불포화지방산은 중성지방을 억제하고, 지방을 분해하여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데 큰 도움을 줍니다.

 

 

고지혈증에 좋은 음식

  • 등 푸른 생선류 ( 오메가-3 )
  • 통곡 밀, 귀리, 견과류, 아마씨, 콩류 ( 불포화지방 음식, 섬유질이 높은 음식 )
  • 식물성 기름
  • 가금류 ( 닭고기, 오리고기 등)
  • 해조류 ( 미역, 다시마, 김, 모자반, 조류 등)
  • 식이섬유가 풍부한 채소류 ( 당근, 비트, 양배추, 고구마, 브로콜리, 샐러리 등)
  • 과일 ( 사과, 배, 블루베리, 바나나 등 )
  • 충분한 물 수분 섭취

 

 

 

 

 

 

 

고지혈증에 안 좋은 음식

설탕, 빵, 케이크, 튀김, 고열량, 고지방, 단순당 음식, 탄산음료, 당이 있는 과일음료, 기름진 고기, 유제품(버터-치즈-우유) , 아이스크림, 포화지방(튀김류, 대량 생산된 제과제빵류, 가공식품, 마가린 등), 트랜스지방(마요네즈, 유제품, 마가린, 빵, 케이크 등), 콜레스테롤 함량이 많은 음식(단맛의 음식들, 가공육, 포장식품, 정제된 탄수화물, 알코올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맛있고 달달한 음식이 고지혈증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줍니다. 이 음식들을 금지해야 한다는 것보다 적당한 양을 적당한 횟수로 스스로 절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고지혈증에 안좋은 음식

  • 설탕이 많이 들어간 음식, 케이크, 마요네즈, 유제품, 아이스크림 등 ( 트랜스 지방 )
  • 과일음료, 탄산음료 ( 단순당 음식 )
  • 햄버거, 피자, 치킨 ( 고열량, 고지방, 기름진 음식 )
  • 튀김류, 대량 생산된 제과 제빵류, 가공식품 등 ( 포화지방 )
  • 단맛의 음식들, 가공육, 포장식품, 정제된 탄 수물 (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은 음식 )

 

 

 

 

 

 

 

고지혈증 약 부작용? 식단관리? 자연치료?

고지혈증 콜레스테롤 수치가 위험 정도의 높은 수준이 아니면 약 복용 없이 개선된 생활습관과 건강한 식단관리, 꾸준한 운동으로 충분히 개선됩니다. 건강검진 후 고지혈증을 진단받았다면, 약 복용이 먼저가 아닌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러나 꾸준한 관리에도 콜레스테롤 수치가 여전히 높다면 약 복용을 추천합니다. 약을 처방해 먹는다 하여도 약은 일시적으로 수치만 낮출 뿐 개선되지 않는 식단과 생활습관이 없다면 제자리걸음입니다. 또한 고지혈증의 약은 스타틴 계열로 부작용 또한 만만치 않습니다. 약의 종류는 많고 다양하지만 고지혈증 약의 90% 정도는 스타틴 계열의 약입니다. 성분명에 '아토르바스타틴', '-스타틴'이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으면 스타틴 계열의 약물입니다. 이 약은 쓰는 동안만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약입니다. 부작용으로는 크게 근육의 무기력증, 근육 통증, 혈당을 올리고 당뇨병을 유발, 간수치를 올리는 간 기능 저하 등이 있습니다. 약의 부작용은 스타틴에 대한 검색만으로 충분히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약 복용이 먼저가 아닌, 약 복용을 우선으로 하는 것보다 생활개선, 식단관리, 운동으로 개선 후 약을 드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병원에서 처방받았다면 약을 복용하시면서 생활개선과 식단, 운동에도 충분한 힘을 써야 합니다. 약을 끊은 후에도 콜레스테롤 수치를 꾸준히 관리해야 합니다.

 

 

 

 

 

 

 

고지혈증 개선 방법 (예방법)

유전적인 고지혈증을 제외하면, 대개 식단 조절과 함께 적절한 운동이 고지혈증을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 고지혈증 개선은 크게 5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째 고지혈증에 좋은 음식 위주의 식단 관리 및 꾸준한 섭취, 두 번째 설탕 섭취 줄이기, 세 번째 꾸준한 운동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꾸준한 운동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내려주고 성인병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유산소 운동은 혈액 속에 존재하는 여분의 지방을 제거해줍니다. 또한 유산소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게 되면 LDL 수치를 낮추고 HDL 수치를 높일 수 있습니다. 네 번째 충분한 숙면 취하 기입니다. 모든 질병의 기본은 수면을 잘 지키는 것입니다. 적어도 6~8시간 정도의 규칙적인 수면을 하면 호르몬이 안정적으로 분비되어 비만이나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다섯 번째 흡연을 추천드립니다. 고지혈증을 앓고 계신 분 중 고혈압, 흡연 등 해당되면 심혈관계 질환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 꾸준한 식단관리 (채소, 과일, 통곡물, 콩류, 기름기 적은 고기 등 위주 식단
  • 고열량 음식 줄이기, 설탕 줄이기
  • 꾸준한 가벼운 유산소 운동
  • 충분한 숙면 ( 6~8시간 )
  • 흡연

 

 

 

 

 

 

 

 

 

 

 

 

 

 

 

 

 

 

 

 

 

 

 

반응형

댓글